장선우는 여러 나라, 도시를 오가며 지내던 어느 날 집 없이 원터치형 텐트를 들고 돌아다니며 사는 무리를 만난다. 그리고 원터치 텐트를 모티브로 `이동 가능한 일시적 안전 공간` 개념을 옷에 대입한 `fun-to-wear` 컬렉션을 시작한다. 그렇게 ‘선우’라는 브랜드가 탄생한다.
이우성시인
이우성은 시인이다. <GQ> <ARENA HOMME+>의 피처 에디터로 일했다. 공간, 사람, 본질적인 생각들에 대해 탐구하고 있으며, 이 과정을 여러 매체에 기고하고 있다. 크리에이티브 콘텐츠 크루 <미남컴퍼니>의 대표다
작가님 옷은 어쩜 이렇게 재미있죠.
졸업 학년 때 거리에서 우연히 `원터치 텐트족`을 만났어요. 곧바로 학교에 가서 친구들에게 알렸어요. “나 이거 할래! 접힌 걸 던지면 옷이 뿅 나타나는 거야! 너무 웃기지!” 그렇게 시작했어요. 거기에 재미있다, 계속 만들어보고 싶다는 진지한 열정이 더해졌어요.
사람들이 이걸 옷으로 받아들여 줄까? 이 옷을 사랑할까? 같은 불안은 없었는지, 혹 여전히 그런 고민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조금 다른 이야기일 수 있지만, 입을 수 있는 옷과 입을 수 없는 옷을 나누는 기준이 형태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아무리 멀쩡해 보이는 옷이어도 아름답지 않으면 입을 수 없는 옷이라고 생각합니다. 누군가는 제 옷을 좋아하지 않을 수 있겠지만, 누군가는 제 옷을 사랑하고 즐길 수 있다고 믿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작가님 옷을 보면 색감도 오래 기억에 남습니다. 그런데 한 벌 한 벌 면밀히 보다보니 특별한 컬러가 쓰인 건 아니더라고요. 형태를 단순화해서 컬러가 더 눈에 들어오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선우`의 실루엣은 강한 컬러를 입었을 때 더 드라마틱해진다는 걸 알았어요. 단순한 색들이 모이면 시각 자극이 극대화된다고도 생각해요. 아이돌의 `칼군무`를 볼 때의 짜릿함같은 것이요.
옷을 만들 때, 사람들이 기존의 관념을 잊고 자유롭게 옷에 대한 생각을 확장하면 좋겠다고 생각하나요? 아니면 사용자는 고려하지 않는 편인가요?
가끔 누군가의 옷장에 선우의 옷이 들어가 평범한 애들 다 끌고 나와 함께 춤추는 상상을 합니다. 제가 바라는 사용자는 실용적인 기준으로만 옷을 판단하지 않는 사람이들이에요. 호기심을 품고 다양한 형태의 옷을 함께 즐길 수 있었으면 합니다. 하지만 그게 아니더라도 함께 춤추는 게 어려운 일은 아니잖아요!
어떤 사람들이 작가님 옷을 입나요?
본인의 캐릭터를 표현하는 데 적극적인 사람부터 소장의 기쁨을 즐기는 분들까지 다양합니다. 컬렉션의 대부분을 구입한 해외 고객으로부터 최근 연락이 왔어요. 그간 저와 팀원들은 그분이 어떤 사람인지 궁금했거든요. 백발의 노부인이었어요. 제 옷을 입고 생활하는 일상 사진을 보내주셨어요! `너의 옷을 소녀 소년들만 사랑하는 건 아니야`라는 메시지와 함께요.
올해 초 성수동에서 열린 전시 를 재밌게 보았어요. 보았다기보다 경험했다고 표현하는 게 올바를 것 같습니다. 옷을 입어볼 수 있었으니까요. 당시에 전시 제목을 보며 이런 의문이 들었습니다. 옷이 왜 재미있어야 하지? 물론 저 제목은 당위성을 내포하고 있지 않습니다.
저의 `퍼스널리티`와 관련이 있는 것 같은데요, 진지한 걸 좋아하지 않아요. 그리고 `Fun-to-wear`는 `Ready-to-wear`에 대한 반항심이기도 해요.
충분히 이해됩니다. 전시장에서 본 룩북도 흥미로웠어요. 옷을 입은 모델이 꼭 외계인처럼 보였어요. 물론 외계인을 본 적은 없지만요. 더불어 이런 생각도 들었습니다. 아, 이 옷은 일반인이 입을 수 없다, 꾸미고자 하는 외계인만 입을 수 있다. 이런 판단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오, 그렇다면 외계인들이 정체를 드러내고 적극적인 고객이 되어주었으면 합니다. 물론 선우의 옷은 고객 사이즈에 맞춰 주문 제작됩니다. 외계인도 당연히 입을 수 있습니다.
엉뚱한 이야기를 조금 더 하자면, 외계인이 옷을 입고 있다기 보다, 옷 안에 갇혀 있는 것 같았어요. 옷의 관념을 `깼는데` 옷이 무엇을 `가둔` 것 같았어요. 이 옷이 가진 파괴적 자유를 존중하여 드리는 질문입니다.
아! 저는 옷의 형태를 깼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옷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예요. 티셔츠나 스커트를 생각하면 바로 떠오르는 그 구조를 접었다 펼칠 수 있게 만든 것뿐이에요. 파괴하지 않았고 굳이 자유롭지도 않습니다.
전혀 다른 방식으로 이 옷을 설명한다면 어떤 표현이 가능할까요?
아는 맛에 아는 맛을 더해 색다른 맛을 냈으니 `바게트에 올린 휘핑크림 같은 옷` 정도 어떨까요?
오, 좋아요. 6월 26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창동레지던시에서 열리는 그룹전에 참여한다고 들었습니다. 이 전시에 옷의 형태를 기꺼이 전복하는 작가들이 참여한다고 들었습니다.
한국에서는 기존 형태를 벗어난 패션에 대해 보수적이에요. 그래서 저에겐 전시장에서 이런 시도를 하는 것이 반갑습니다.
아주 보편적인 옷을 만들 생각도 있나요?
예술적인 옷을 만드는 데 초점을 두고 있는 건 아니에요. 실험을 통해 형태나 구조를 만들어내는 행위에 집중하는 거예요. 그 결과물이 보편적으로 느껴지는 옷이 될 수도 있는 거죠.
영화는 재미있으면 됩니다. 재밌으려고 보는 거니까요. 옷은 재미로 충분할까요?
영화도 다양하잖아요. 재미를 추구하기도 하고 지극히 예술적인 경우도 있죠. 저는 해석의 여지가 있고 직관적이고 솔직한 걸 좋아해요. 옷도 마찬가지고요.
우스운 물음에 현명한 답이네요.
고맙습니다.
룩북 크레딧: 사진 김문독 @kimmoondog 헤어/메이크업 은서 @xoxov3 모델 최예주 @y_ejooo 이예리 @yellkist
전시 크레딧: 공간 더 그라운드 성수 @theground_official @ryanyoonstudio 디렉터 연누리 @nurigiela
전시 사진 크레딧: 유경오 @photoyou605
첫번째 댓글을 달아보세요!